Author: workman729
Forum: 데스크탑/소프트웨어 게시판
Date: 2014-08-12
그냥 다른 컴퓨터에서 인스톨 후 서버에 하드를 단다고 해서 되는 것은 아닙니다.
데스크탑으로 사용하는 컴과 서버로 사용할 컴의 제원이 다를 것이 확실하오니
말씀 처럼 드라이버, 마더보드, CPU 사용등에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말씀 하신 작업이 불가능 한 것은 아닙니다.
또한 서버 제원이 업그레이드 되어도 다른 컴에서 설치 후 하드를 체인지할 필요 조차 없습니다.
여기서 리눅스 커널의 빛이 영롱하게 발휘 됩니다. (윈도우와는 다르지요...^^)
해답은 리눅스의 커널을 재컴파일 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또한 패키지 설치된 프로그램 이외에 직접 컴파일 하여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재컴파일이 필요하므로 되도록 데탑 또는 서버에서 프로그램 설치시 패키지로 설치하시면 추가되는 작업은 없을 것이라 봅니다.
그리고 서버를 사용하신다면 VGA, grub와 같은 부가적 요소는 필요가 없습니다.
서버 버전을 데스크 탑으로 활용하거나 그래픽 제원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서버관리자 입장에서 커널의 재컴파일이 가능하다는 것은 엄청난 장점입니다.
그리고 마더보드, CPU등의 업그레이드 시 커널만 재컴파일 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습니다.
위의 방법은 모든 리눅스 배포반에서 이용 가능한 방법입니다. 참고 하십시오.
Forum: 데스크탑/소프트웨어 게시판
Date: 2014-08-12
그냥 다른 컴퓨터에서 인스톨 후 서버에 하드를 단다고 해서 되는 것은 아닙니다.
데스크탑으로 사용하는 컴과 서버로 사용할 컴의 제원이 다를 것이 확실하오니
말씀 처럼 드라이버, 마더보드, CPU 사용등에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말씀 하신 작업이 불가능 한 것은 아닙니다.
또한 서버 제원이 업그레이드 되어도 다른 컴에서 설치 후 하드를 체인지할 필요 조차 없습니다.
여기서 리눅스 커널의 빛이 영롱하게 발휘 됩니다. (윈도우와는 다르지요...^^)
해답은 리눅스의 커널을 재컴파일 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또한 패키지 설치된 프로그램 이외에 직접 컴파일 하여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재컴파일이 필요하므로 되도록 데탑 또는 서버에서 프로그램 설치시 패키지로 설치하시면 추가되는 작업은 없을 것이라 봅니다.
그리고 서버를 사용하신다면 VGA, grub와 같은 부가적 요소는 필요가 없습니다.
서버 버전을 데스크 탑으로 활용하거나 그래픽 제원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서버관리자 입장에서 커널의 재컴파일이 가능하다는 것은 엄청난 장점입니다.
그리고 마더보드, CPU등의 업그레이드 시 커널만 재컴파일 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습니다.
위의 방법은 모든 리눅스 배포반에서 이용 가능한 방법입니다. 참고 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