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577

Re: [해결] 듀얼부팅중 비스타로 부팅이 안됩니다.

$
0
0
Author: zenera
Forum: 설치/부팅 관련
Date: 2014-01-10

고생끝에 성공하셔서 다행입니다.

비스타 USB로 부팅해서
C:> bcdedit /set {bootmgr} path \EFI\Microsoft\Boot\bootx64.efi
x:source> bootrec /rebuildbcd

위와 같이 해서 Vista가 정상 동작했으면 bootmgfw.efi 또는 BCD 파일에 문제가 있었을 수 있습니다.
다만, 위와 같이 bootx64.efi 파일 명을 사용하는 것은 문제는 없겠지만 바람직하지는 않습니다.


참고로, ESP(EFI System Partition)의 폴더 구조는 아래와 같이 기본 boot loader를 위한 /EFI/Boot 폴더와 Vendor 들이 제공하는 boot loader 폴더로 구성됩니다. Vendor 들이 제공하는 폴더 구조는 엿장수 맘대로 해도 됩니다. ESP는 VFAT file system 이므로 폴더나 파일 명의 대소문자 구분이 없습니다.

/EFI --- Boot : bootx64.efi => 기본 boot loader
`--- Microsoft/Boot : bootmgfw.efi (BCD/boot.stl) => Windows boot manager
`--- ubuntu : shimx64.efi 또는 grubx64.efi => Ubuntu Grub boot loader
`--- APPLE

기본 boot loader인 /EFI/Boot/bootx64.efi의 정체는 Vendor들이 제공하는 boot loader 복사본입니다.
그니까, 예를 들어, Windows 8이 기본 설치된 PC는 bootx64.efi = bootmgfw.efi, Ubuntu만 설치할 경우엔 bootx64.efi = shimx64.efi(Secure Boot) 또는 bootx64.efi = grubx64.efi 가 됩니다.

또한, Windows의 bcdedit, 리눅스의 efibootmgr, Mac OSX의 bless는 모두 EFI firmware NVRAM의 boot loader 정보를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사용법이 다를 뿐, boot loader 정보를 생성/변경 또는 삭제하고, boot loader의 위치와 booting 순서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중 OS 설치 시에는 OS Vendor 들이 자신의 boot loader로 기본 boot loader를 덮어 버리고, 심지어 Booting 순서까지 바꿔 버리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혼란을 겪을 수 밖에 없습니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577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