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577

Re: Firefox 그리고 한글 입력기문제

$
0
0
Author: bahzu
Forum: 팁 게시판
Date: 2014-01-09

오늘 주변의 친우 몇명이 테스트에 동참하여 주기로 하였는 데(말이 동참이지 장난에 가까운 것이지만...)
예기치 않는 경우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만약 아래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다른 분께서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일단 libx11 버전을 컴파일 하기 전 기존에 원본 파일은 백업을 하게 됩니다.
백업 해야 할 파일 중 가장 중요한 파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usr/lib/x86_64-linux-gnu/libX11.so.6.3.0
/usr/lib/x86_64-linux-gnu/libX11.so (libX11.so.6.3.0 심볼릭)
/usr/lib/x86_64-linux-gnu/libX11.so.6 (libX11.so.6.3.0 심볼릭)
/usr/lib/x86_64-linux-gnu/libX11.a
/usr/lib/x86_64-linux-gnu/libX11.la
/usr/lib/x86_64-linux-gnu/libX11-xcb.so.1.0.0
/usr/lib/x86_64-linux-gnu/libX11-xcb.so.1 (libX11-xcb.so.1.0.0 심볼릭)
/usr/lib/x86_64-linux-gnu/libX11-xcb.so (libX11-xcb.so.1.0.0 심볼릭)
/usr/lib/x86_64-linux-gnu/libX11-xcb.a
/usr/lib/x86_64-linux-gnu/libX11-xcb.la
/usr/lib/pkgconfig/x11-xcb.pc
/usr/lib/pkgconfig/x11.pc
위의 파일 중 주의 해야 할 부분이 있는 데 그것은 libX11.so.6 파일 입니다.
이 파일은 심볼릭이므로 굳이 백업 처리 하지 않으셔도 되지만
해당 파일은 LightDM, KDM, MDM, GDM등의 디스플레이 매니저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백업 처리 하시면 디스플레이 매너저가 실행 되지 않습니다.

libX11을 컴파일 하시면 해당 파일이 /usr/local/lib에 설치되므로 반드시 /usr/lib/x86_64-linux-gnu 디렉토리에
libX11 라이브러리를 심볼릭 파일로 생성해 주셔야 한다는 점을 강조해 드립니다.
물론 디스플레이 매니저의 관련 파일 위치를 바로 잡아 주면 되지만
그보다는 심볼릭 링크를 생성하는 것이 쉬운 방법인 듯 합니다.

위처럼 하는 이유는 다들 잘 아시겠지만 만약의 사태를 대비함과 동시에
이미 밝혀드린 디스플레이 매니저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함이 먼저이고
나중에 삭제 하시기 편하게 하기 위함이므로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만약 민트 또는 그놈 리믹스를 사용하시는 분은 fontconfig-infinality를 설치 하셨다면
로우 그래픽 모드(GDM)가 나타나거나 startup fail(MDM)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유는 infinality-setting.sh 파일 때문 입니다. 이 오래된 현상을 저에게 미루니
오늘 한 놈은 뒤통수가 상당히 아플 것 입니다.

이 현상은 절대 libX11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etc/profile.d/infinality-settings.sh를 삭제 하시고 민트와 그놈 리믹스에서
fontconfig-infinality를 사용 하시려면 디스플레이 매니저를 LightDM, KDM등으로 바꾸시거나
사용자 홈 디렉토리에 ./local/bin 디렉토리를 생성 하신 후 infinality-setting.sh를 설치 하시고
.profile에 PATH를 걸고 실행 권한을 주시면 사용하시는 데 지장이 없습니다.

그리고 /etc/profile에 echo를 통해 패스 추가 하신 분이 계시다면 패스를 /etc/enviroment에 새로 생성 하십시오.
우분투 계열은 /etc/profile에 패스 추가시 /usr/local/bin, /usr/local/sbin등의 패스가 사라지는 버그가 있습니다.

또한 ld.so.conf에 컴파일 된 libX11 라이브러리를 인식 시켜 주어야 합니다.
위의 파일에 /usr/local/lib을 추가해 주시면 사용 하시는 데 불편이 없을 것 입니다.

오늘 디스플레이 매니저 문제로 이를 변명하느라 진땀을 흘려
혹시 모를 낭패를 보신 이용자가 계시다면 이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577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