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happyman
Forum: 자유 게시판
Date: 2014-11-01
어제 밤에 설치해서 잠깐 보았는데, 전반적으로 아주 조금 14.04보다 가벼워진 느낌 혹은 조금은 빠릿빠릿해진 느낌이네요. 그리고 제가 파악한 바로는, 한글 입력 구조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하나 더 있는 방식으로 바뀌었더군요. 다음 그림을 보세요.
시작 ----+-----(1)-----한국어---+---(1.1)---- 영어 (default)
| |
| +---(1.2)---- 한국어
|
+-----(2)------- 영어
|
+-----(3)------- 다른 제3의 언어,,,
이 설명은 전환키 값의 변경 등을 하지 않고, 한국어를 선택하여 우분투 14.10을 설치하고, 주어진 그대로 사용할 경우입니다. 한글로 설치하면, 위 그림에서 (1)만 존재하고 (2), (3) 등과 (1.1), (1.2)는 없습니다. 그래서 14.04에서는 영어 등을 "시스템 설정"의 "텍스트 입력창"에 추가해서 (2), (3) 등을 만들어 전환을 했지요? 그러나, 14.10에서는 이 그리 (1)의 한국어 내에 영어 (위 그림의 (1.1))와 한국어 (위 그림의 (1.2))의 전환이 있고 부팅 직후에는 영어로 세팅되어 있습니다. (즉, default가 영어입니다.) 이 전환은 Shift+Space 혹은 한/영 전환키를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글과 영어만 입력하면 되는 분들은 더 이상 "텍스트 입력창"에 다른 언어를 입력할 필요가 없이 그냥 사용하면 됩니다. 즉, 위 그림의 (1.1) <=> (1.2)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스템 설정"의 "텍스트 입력창"에서 영어 등 다른 언어를 추가하여 위 그림의 (2), (3) 등을 만들어 주면, 예전과 똑같이 (1)=>(2)=>(3)=>(1)의 전환이 가능하며, 예전처럼 Super+Space로 전환합니다. 영어 외에 다른 언어 입력이 더 필요한 분들은 예전과 같은 방식으로 언어를 추가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시 말하면, (1)=>(2)=>(3)=>(1)로 바뀌는 설정은 14.04와 똑같습니다. 여기에 (1)의 한국어 내부에서 영어/한글 선택을 하는 기능이 추가된 것입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이 기능은 "텍스트 입력창"에 "korean(Hangul)", 즉 unity top panel에 태극 마크 아이콘으로 보이는 한국어가 있어야 가능하더군요. "Korean"이나 "Korean(101/104 keyboard)"는 KO라는 아이콘으로 보이고, 또한 이런 전환이 안되더라구요.
14.04에서 하듯이 영어를 "텍스트 입력창"에 추가하고 Super+Space로 바꾸려고 들면, 한글 입력을 못하니 당황하게 됩니다. 14.10을 설치한 직후, 제가 그랬습니다. 한국어를 입력하는 것이 전혀 안되니 당황했지요. 그 이유는 위에 말씀 드렸듯이 한국어의 default 입력은 영어이기 때문에, Super+Space 키를 이용하여 (1)=>(2)=>(1)로 바꾸면, (1.1)=>(2)=>(1.1)로 바뀌어서 영어만 되기 때문입니다. 예전 방식으로 언어 전환을 하고 싶으시다면, 한국어 입력의 default를 한국어로 바꾸어 설정하면 됩니다. 즉 (1)의 default를 (1.1)이 아니라 (1.2)로 설정하는 것이죠. Unity top panel의 태극 마크를 클릭하면 나오는 메뉴에서 "설정"을 선택하시면 이 설정이 됩니다. 14.04에도 이 설정 메뉴는 있는데, 14.10에서는 이 메뉴의 설정 항목이 늘어났습니다.
하나 아쉬운 것은 (1)=>(2)=>(1) 전환에서는 태극 마크 아이콘과 EN 아이콘의 전환이 unity top panel에 보이는데, (1.1)=>(1.2)=>(1.1) 전환, 즉 한국어 내부에서의 한/영 전환은 아이콘이 태극 마크로 고정되어 있어서 좀 답답하더군요. Working laptop을 14.10으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은 없지만, 설사 14.10으로 간다고 하더라도, 제 경우에는 이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1.1)<=>(1.2)의 이 방식으로 사용하지 않고, 예전 방식으로 사용할 것 같습니다. 따라서 14.10이 꼴랑 9개월 지원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upgrade할 이유가 없네요.
영어로 우분투 14.10을 설치하는 경우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이 좀 복잡하네요. 일단, Laguage Support에서 한국어를 추가한 다음에만 "Text Entry"에서 "Korean(Hangul)"가 나타나고 이것을 추가할 수 있군요.
Forum: 자유 게시판
Date: 2014-11-01
어제 밤에 설치해서 잠깐 보았는데, 전반적으로 아주 조금 14.04보다 가벼워진 느낌 혹은 조금은 빠릿빠릿해진 느낌이네요. 그리고 제가 파악한 바로는, 한글 입력 구조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하나 더 있는 방식으로 바뀌었더군요. 다음 그림을 보세요.
시작 ----+-----(1)-----한국어---+---(1.1)---- 영어 (default)
| |
| +---(1.2)---- 한국어
|
+-----(2)------- 영어
|
+-----(3)------- 다른 제3의 언어,,,
이 설명은 전환키 값의 변경 등을 하지 않고, 한국어를 선택하여 우분투 14.10을 설치하고, 주어진 그대로 사용할 경우입니다. 한글로 설치하면, 위 그림에서 (1)만 존재하고 (2), (3) 등과 (1.1), (1.2)는 없습니다. 그래서 14.04에서는 영어 등을 "시스템 설정"의 "텍스트 입력창"에 추가해서 (2), (3) 등을 만들어 전환을 했지요? 그러나, 14.10에서는 이 그리 (1)의 한국어 내에 영어 (위 그림의 (1.1))와 한국어 (위 그림의 (1.2))의 전환이 있고 부팅 직후에는 영어로 세팅되어 있습니다. (즉, default가 영어입니다.) 이 전환은 Shift+Space 혹은 한/영 전환키를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글과 영어만 입력하면 되는 분들은 더 이상 "텍스트 입력창"에 다른 언어를 입력할 필요가 없이 그냥 사용하면 됩니다. 즉, 위 그림의 (1.1) <=> (1.2)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스템 설정"의 "텍스트 입력창"에서 영어 등 다른 언어를 추가하여 위 그림의 (2), (3) 등을 만들어 주면, 예전과 똑같이 (1)=>(2)=>(3)=>(1)의 전환이 가능하며, 예전처럼 Super+Space로 전환합니다. 영어 외에 다른 언어 입력이 더 필요한 분들은 예전과 같은 방식으로 언어를 추가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시 말하면, (1)=>(2)=>(3)=>(1)로 바뀌는 설정은 14.04와 똑같습니다. 여기에 (1)의 한국어 내부에서 영어/한글 선택을 하는 기능이 추가된 것입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이 기능은 "텍스트 입력창"에 "korean(Hangul)", 즉 unity top panel에 태극 마크 아이콘으로 보이는 한국어가 있어야 가능하더군요. "Korean"이나 "Korean(101/104 keyboard)"는 KO라는 아이콘으로 보이고, 또한 이런 전환이 안되더라구요.
14.04에서 하듯이 영어를 "텍스트 입력창"에 추가하고 Super+Space로 바꾸려고 들면, 한글 입력을 못하니 당황하게 됩니다. 14.10을 설치한 직후, 제가 그랬습니다. 한국어를 입력하는 것이 전혀 안되니 당황했지요. 그 이유는 위에 말씀 드렸듯이 한국어의 default 입력은 영어이기 때문에, Super+Space 키를 이용하여 (1)=>(2)=>(1)로 바꾸면, (1.1)=>(2)=>(1.1)로 바뀌어서 영어만 되기 때문입니다. 예전 방식으로 언어 전환을 하고 싶으시다면, 한국어 입력의 default를 한국어로 바꾸어 설정하면 됩니다. 즉 (1)의 default를 (1.1)이 아니라 (1.2)로 설정하는 것이죠. Unity top panel의 태극 마크를 클릭하면 나오는 메뉴에서 "설정"을 선택하시면 이 설정이 됩니다. 14.04에도 이 설정 메뉴는 있는데, 14.10에서는 이 메뉴의 설정 항목이 늘어났습니다.
하나 아쉬운 것은 (1)=>(2)=>(1) 전환에서는 태극 마크 아이콘과 EN 아이콘의 전환이 unity top panel에 보이는데, (1.1)=>(1.2)=>(1.1) 전환, 즉 한국어 내부에서의 한/영 전환은 아이콘이 태극 마크로 고정되어 있어서 좀 답답하더군요. Working laptop을 14.10으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은 없지만, 설사 14.10으로 간다고 하더라도, 제 경우에는 이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1.1)<=>(1.2)의 이 방식으로 사용하지 않고, 예전 방식으로 사용할 것 같습니다. 따라서 14.10이 꼴랑 9개월 지원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upgrade할 이유가 없네요.
영어로 우분투 14.10을 설치하는 경우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이 좀 복잡하네요. 일단, Laguage Support에서 한국어를 추가한 다음에만 "Text Entry"에서 "Korean(Hangul)"가 나타나고 이것을 추가할 수 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