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577

Re: 미래창조과학부 공개SW 활성화 방안 요약 및 질의사항

$
0
0
Author: drake_kr
Forum: 자유 게시판
Date: 2014-09-20

제 개인적인 의견을 작성해보자면,

매우 힘들겠지만, 뿌리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먼저, SW교육이니 뭐니 다 떠나서, 아이들에게 각자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져야겠고요.
(이에 대한 방법으로는 토론수업 활성화가 있겠습니다)

또한, 제가 알기로는 오픈소스를 이용한 취직이 쉽지 않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분은 현재 Daum에 계시는 Potplayer 개발자분 정도..
오픈소스를 통해 취업을 하고, 그분들에게 많은 연봉을 주는 기업이 있었으면 좋겠군요.

1. 특정 OS에 편중되지 않는 컴퓨팅 환경 조성
- Firefox에 특정 플러그인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쾌적한 환경이라면 Windows, Mac, Android, Blackberry 등에서 사용하는데 전혀 문제가 되지 않겠지요.
- 특정 OS를 개발하는 것보다, 웹페이지에서 특정 플러그인을 요구하지 않도록 하면 됩니다. 보안의 구멍은 다 플러그인이죠.
2. 국가 공개SW R&D 확대
- 학계쪽에서 Standard의 연구를 하는게 있었으면 합니다. 기업에도 물론 연구소가 있고, Industrial Standard쪽을 많이들 주장하시지만, 초안은 학계쪽에서 연구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 그리고, 국가에서 관리하는 데이터센터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실제 공개SW 대회등을 지금까지 꽤 많이 해온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그 원본 코드를 볼 수 있는곳이 어디인지 모르겠군요.
3. 고급 공개SW 개발자 양성
- 위에 말씀드렸다시피, 이공계기피현상이 지속되는 이유는 성공하기 어려운 사회현상때문입니다. 특히 IT계열이 그나마 낫다고들 이야기합니다만, 이렇다 할 영웅이 없습니다. 만약 신문에서 '오픈소스 활동으로 취업에 성공했어요'라는 토픽에 수십명이 실리콘밸리에 갔다는 기사만 떠도 지금보다 상황은 꽤 나아질거라 생각합니다.
- 또한, 최신의 전문기술을 가진 '전문가'를 양성하겠다는건 말도 안되는 이야기입니다. 최근 트렌드를 보자면 Cloud, Big Data, Internet of Things 등이 있는데, 그 이면에는 높은 수준의 기본지식이 요구됩니다. 프로그래밍 선행학습을 한다고 해서 좋은 개발자가 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봅니다.
4. 정부 및 공공부문의 공개SW 도입 확대
- Open Source Software의 경우 특허권 등의 이유로, 상용 프로그램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거나 하는 것들이 있으며, 또한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는 소프트웨어는 기업에서 개발하길 꺼려하지요.
- HWP의 대안 Software를 학계쪽에서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방법이 어떨까 싶습니다(1년 단위 릴리즈)
(물론 HWP는 좋은 소프트웨어이지만, 파일 포맷의 비공개, 플랫폼 종속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577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