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happyman
Forum: 설치/부팅 관련
Date: 2014-09-18
쓰신 글을 보니, 1번 하드에 윈도즈7, 2번 하드에 우분투를 설치하여 멀티부팅을 하고 싶으신 것으로 보입니다.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크게 어렵지 않은 구성으로 보이긴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도움을 얻으시려면, 일단 컴퓨터에 대해서 기본 정보를 제공하셔야 질 높은 도움을 얻으실 수 있을 듯하네요. 다음의 사항을 일단 알려주시면 어떨까 합니다.
(1) 컴퓨터의 기본 사양, 즉 메인 메모리 크기, CPU 및 그래픽 카드 제조사 및 모델, 인터넷 연결은 어찌하시는지 (유선?, 무선 랜?, 양쪽 모두?)
(2) BIOS 종류 (BIOS?, UEFI?) : 이 부분을 잘 모르시면, Windows 7을 설치하셨다니, Windows 7으로 부팅하셔서, "C:\Windows\Panther\setupact.log"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보세요. 메모장에서 찾기 메뉴를 이용하여, "Detected boot environment"라는 문자열을 찾아보세요. 그 바로 뒤에 BIOS 혹은 UEFI가 쓰여 있습니다.
(3) 1번, 2번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알려주세요.
Grub4dos를 사용하여 멀티부팅을 하실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방법은 아닙니다. 1번 디스크에 윈도7이 설치되어 있고, 2번 디스크에 우분투 14.04를 설치하려는 경우, 다음의 순서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 우분투 설치용 USB memory stick을 만듭니다. 다음의 web page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http://www.pendrivelinux.com/universal-usb-installer-easy-as-1-2-3/
(2) PC의 부팅 순서를 USB 우선이 되도록 BIOS 설정을 바꿉니다. 이때, 가능하다면, USB => 2번 디스크 => 1번 디스크의 순서로 부팅 순서를 바꾸어 주면, 아래 (7)번을 할 필요가 없겠죠.
(3) 위 (1)에서 만든 USB stick을 PC의 USB 포트에 넣고 그것으로 부팅합니다.
(4) 부팅했을 때 나오는 첫 메뉴에서 "Install Ubuntu"를 선택하여 설치과정에 들어갑니다.
(5) 설치 도중, 2번 디스크를 대략 3개 정도의 파티션으로 나누어 줍니다. 윈도의 E: F: 개념은 잊어버리세요. root, swap, home partition으로 나눕니다. root가 우분투가 설치되는 곳, home이 데이터 부분입니다. swap은 우분투에서는 별도의 파티션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윈도즈에서는 파일로 설치하지요.
(6) 설치 과정의 막바지에 부트로더를 설치한는 과정이 있습니다. 이때, 2번 디스크에 부트로더를 설치합니다. 이 부트로더를 grub이라고 부릅니다. 부트로더의 설치 디스크 선택을 위한 설정은 위 (5)에서 같이 합니다. 이때, 부트로더를 1번 디스크에 설치해도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7) BIOS 설정을 2번 디스크에서 부팅하도록 바꿉니다. 위 (2)에서 이미 하셨다면, 필요없는 과정입니다.
대략 이런 순서로 설치가 완료되면, 2번 디스크의 grub 부트로더에서 윈도즈와 우분투를 선택하여 부팅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1번과 2번 디스크가 따로 동작하므로 한쪽 OS를 없애고 싶은 경우 아주 쉽다는 점이죠.
이 과정이 2개의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는 PC에서, 전형적인 윈도즈/우분투 멀티 부팅 과정입니다. 자세한 것은 컴퓨터의 사양 정보가 있어야 조언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이 정도의 정보를 가지고 알아서 하실 수 있으시면 더 좋구요. UEFI를 사용하는 PC의 경우, 저는 아는 것이 없습니다. 그 경우, 저는 입 다물고 있는 수 밖에 없겠네요. 그건 너무 복잡해요.
혼자서 설치하는 것이 어려우시면, 일단 우분투 설치를 하기 전에, 다음의 일을 해 보세요.
(1)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우분투 설치용 USB memory stick을 만듭니다.
(2) BIOS 설정을 USB 우선으로 바꾸어서 위 (1)에서 만든 것으로 부팅합니다.
(3) 첫 화면에서 "Try Ubuntu"를 선택하여, 부팅을 완료하여 데스크탑이 나타나게 합니다.
(4) Ctrl+Alt+t 키를 이용하여 터미널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5) 터미널에서 "sudo fdisk -l" 명령을 입력하고 Enter key를 칩니다. (따옴표는 치지 마세요)
(6) 터미널에 나온 결과를 여기에 올립니다. 이 정보가 있으면, 조언 받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
참고 사항 : 우분투에서는 1번 하드를 /dev/sda, 2번 하드를 /dev/sdb로 부릅니다. 아니, 그럴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실제는 위에서 언급한 "sudo fdisk -l"의 결과를 봐야 압니다. 그리고, 우분투 용으로 갈라 놓은 윈도즈 파티션은 잊어버리세요.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아마 NTFS file system을 사용하셨을텐데, 우분투 14.04에서는 ext4라는 file system을 사용합니다.
Forum: 설치/부팅 관련
Date: 2014-09-18
쓰신 글을 보니, 1번 하드에 윈도즈7, 2번 하드에 우분투를 설치하여 멀티부팅을 하고 싶으신 것으로 보입니다.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크게 어렵지 않은 구성으로 보이긴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도움을 얻으시려면, 일단 컴퓨터에 대해서 기본 정보를 제공하셔야 질 높은 도움을 얻으실 수 있을 듯하네요. 다음의 사항을 일단 알려주시면 어떨까 합니다.
(1) 컴퓨터의 기본 사양, 즉 메인 메모리 크기, CPU 및 그래픽 카드 제조사 및 모델, 인터넷 연결은 어찌하시는지 (유선?, 무선 랜?, 양쪽 모두?)
(2) BIOS 종류 (BIOS?, UEFI?) : 이 부분을 잘 모르시면, Windows 7을 설치하셨다니, Windows 7으로 부팅하셔서, "C:\Windows\Panther\setupact.log"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보세요. 메모장에서 찾기 메뉴를 이용하여, "Detected boot environment"라는 문자열을 찾아보세요. 그 바로 뒤에 BIOS 혹은 UEFI가 쓰여 있습니다.
(3) 1번, 2번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알려주세요.
Grub4dos를 사용하여 멀티부팅을 하실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방법은 아닙니다. 1번 디스크에 윈도7이 설치되어 있고, 2번 디스크에 우분투 14.04를 설치하려는 경우, 다음의 순서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 우분투 설치용 USB memory stick을 만듭니다. 다음의 web page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http://www.pendrivelinux.com/universal-usb-installer-easy-as-1-2-3/
(2) PC의 부팅 순서를 USB 우선이 되도록 BIOS 설정을 바꿉니다. 이때, 가능하다면, USB => 2번 디스크 => 1번 디스크의 순서로 부팅 순서를 바꾸어 주면, 아래 (7)번을 할 필요가 없겠죠.
(3) 위 (1)에서 만든 USB stick을 PC의 USB 포트에 넣고 그것으로 부팅합니다.
(4) 부팅했을 때 나오는 첫 메뉴에서 "Install Ubuntu"를 선택하여 설치과정에 들어갑니다.
(5) 설치 도중, 2번 디스크를 대략 3개 정도의 파티션으로 나누어 줍니다. 윈도의 E: F: 개념은 잊어버리세요. root, swap, home partition으로 나눕니다. root가 우분투가 설치되는 곳, home이 데이터 부분입니다. swap은 우분투에서는 별도의 파티션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윈도즈에서는 파일로 설치하지요.
(6) 설치 과정의 막바지에 부트로더를 설치한는 과정이 있습니다. 이때, 2번 디스크에 부트로더를 설치합니다. 이 부트로더를 grub이라고 부릅니다. 부트로더의 설치 디스크 선택을 위한 설정은 위 (5)에서 같이 합니다. 이때, 부트로더를 1번 디스크에 설치해도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7) BIOS 설정을 2번 디스크에서 부팅하도록 바꿉니다. 위 (2)에서 이미 하셨다면, 필요없는 과정입니다.
대략 이런 순서로 설치가 완료되면, 2번 디스크의 grub 부트로더에서 윈도즈와 우분투를 선택하여 부팅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1번과 2번 디스크가 따로 동작하므로 한쪽 OS를 없애고 싶은 경우 아주 쉽다는 점이죠.
이 과정이 2개의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는 PC에서, 전형적인 윈도즈/우분투 멀티 부팅 과정입니다. 자세한 것은 컴퓨터의 사양 정보가 있어야 조언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이 정도의 정보를 가지고 알아서 하실 수 있으시면 더 좋구요. UEFI를 사용하는 PC의 경우, 저는 아는 것이 없습니다. 그 경우, 저는 입 다물고 있는 수 밖에 없겠네요. 그건 너무 복잡해요.
혼자서 설치하는 것이 어려우시면, 일단 우분투 설치를 하기 전에, 다음의 일을 해 보세요.
(1)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우분투 설치용 USB memory stick을 만듭니다.
(2) BIOS 설정을 USB 우선으로 바꾸어서 위 (1)에서 만든 것으로 부팅합니다.
(3) 첫 화면에서 "Try Ubuntu"를 선택하여, 부팅을 완료하여 데스크탑이 나타나게 합니다.
(4) Ctrl+Alt+t 키를 이용하여 터미널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5) 터미널에서 "sudo fdisk -l" 명령을 입력하고 Enter key를 칩니다. (따옴표는 치지 마세요)
(6) 터미널에 나온 결과를 여기에 올립니다. 이 정보가 있으면, 조언 받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
참고 사항 : 우분투에서는 1번 하드를 /dev/sda, 2번 하드를 /dev/sdb로 부릅니다. 아니, 그럴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실제는 위에서 언급한 "sudo fdisk -l"의 결과를 봐야 압니다. 그리고, 우분투 용으로 갈라 놓은 윈도즈 파티션은 잊어버리세요.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아마 NTFS file system을 사용하셨을텐데, 우분투 14.04에서는 ext4라는 file system을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