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577

리눅스 여행기 #1 - 우분투 처음 깔아 보고

$
0
0
Author: 검댕소년
Forum: 자유 게시판
Date: 2014-09-14

#1.
전 내가 이상해서 우분투에서 한영전환이나 한글이 안 되는 줄 알았어요. 근데 아녔어요.
내가 이상한게 아니라 원래 우분투를 깔면 ibus 입력기에 영어가 설치 되어 있지 않아서 한영 전환이 안 되는 거고 (파폭에선 왜 됐지?)
주분투를 깔면 이거는 원래부터 ibus는 커넝 하나도 안 깔려 있어서 한글 입력이 안 되는 거라고.
결코 제가 바보라서 하는 것마다 컴퓨터가 삐뚫어지기 때문이 아니었어요.

#2.
한영키 안 되니까 영 불편합니다. 아직 쉬프트 스페이스가 익숙치 않아요. ibus 한영키 가능하게 하려고 열심히 검색해봅니다.
오키 검색 완료
http://nemonein.egloos.com/5227053
위 블로그에서 설명한 동일한 입력기 공유를 체크하고 org.gnome.desktop.wm.keybindings.Switch input source 항목을 'Hangul'로 바꾼다는...
근데 결론적으로 아무 소용 없었음.

#3.
그래. nabi를 깔자. (사람들이 그거 하면 된대서)
이얍! 깔았어요. sudo apt-get install nabi. 리눅스는 프로그램 설치도 뭔가 멋있어 보여요.
근데 nabi는 저만 이상한 걸까요? 글자가 멋대로 날라다녀요.
예를들어 '우분투를 치고 띄어쓰기(스페이스)'를 누르면 '우분투_'가 입력되는 게 아니라 '우분_투'가 입력 됩니다.
우분투를 포함한 몇몇 단어들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요. (정확히 말하면 스페이스가 거의 다 지 멋대로 대서 도저히 써 먹지 못할 수준입니다.)
암튼 한영키 쓰려고 nabi 깔았었지만 위 문제로 인하여 원래 쓰던 ibus로 컴백.

#4.
nemonein.egloos.com 블로그를 열심히 보다가 이유를 알았어요.
nabi가 최신 크롬 버젼에서만 이상하게 문제를 일으킨데요.
혹시나 싶어 nabi로 다시 적용시키고 파이어폭스에서 글자를 쳐 봅니다.
헐... 파폭에서 엄청 잘 됩니다. 문제 없어요.
내가 크롬을 쓰니까 발생되는 문제였어요.
나비가 크롬을 싫어해요. 크롬이 나비랑 싸운데요.
인생은 한길이야! 양다리 걸치지마! 이런 건가요?
크롬 쓰려면 나비 못쓰고 나비 쓰려면 크롬 못 써요.

#5.
아무튼 ibus가 한영키 시도 실패하고, nabi가 크롬에서 한글 입력이 제대로 안 되는 문제로 인하여
검색해서 또 다른 분이 추천한 파이틱스를 설치했어요
sudo apt-get install fcitx fcitx-hangul

근데 얘도 문제 있어요.
언어지원에서 파이틱스를 적용시키고 우분투를 다시 키니까
ibus와 fcitx가 동시에 열려 있는 게 아니겠어요?
트레이에는 ibus와 fcitx가 둘다 떴는데 사용되는 건 ibus에요.
다시 검색해 보니 fcitx가 다른 입력기와 중복되는 문제가 있으니 다른 입력기를 지워주래요.

그래서 저는 용감하게 sudo apt-get remove ibus 를 쳤어요!!! (대충 감이 와서 apt-get 으로 언인스톨 하는 방법을 구글링 해 봤어요 ㅋㅋ)
다시 우분투를 껐다 키니까 이제 fcitx 가 잘 돼요. 구글에서도 한글 입력 문제 없고 한영키도 문제없고 짱이에요.

근데 뭔가 이상해요. 검색해봐요.
이럴수가!!! ibus는 우분투 시스템 관리자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ibus는 지우면 안 된데요.
왼쪽 메뉴바에 시스템 관리자 아이콘이 사라져 있고 오른쪽 상단에서 시스템 설정으로 들어가 봐도 기존에 있던 내용의 10% 밖에 없고 다 사라져 있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한마디로 ibus를 지웠더니 시스템 설정이 날라갔어요
다시 sudo apt-get install ibus 를 외쳐보지만
지울 때는 다 지우더니 설치할 때는 딸랑 ibus만 설치하고 끝나요. 시스템 관리자는 그대로에요.
진달래 사뿐히 뿌려드리지도 못했는데 지그시 밟고 날라가셨어요.

#6.
다른 방법도 있네요.

ibus에서 한/영키 사용하기란 제목으로
ppa:createsc/3beol 저장소 추가한 뒤 gnome-control-center를 업그레이드 해주면 입력소스를 한/영 키 단독으로 지정할 수있습니다. 아주 잘되는군요.
시냅틱패키지관리자를 사용해서 저장소 추가하시고 컨트롤센터 업그레이드하세요.

라는 새로운 글이 또 검색 됐어요.
ppa:createsc/3beol 저장소 추가는 대체 어떻게 하는 거지? 터미널에 똑같이 쳐 보지만 안 돼요.
스냅픽패키지관리자란거를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찾아서 설치했어요.
그리고 ppa:createsc/3beol 저장소 추가를 하라는데 아무래도 이건 제가 이해못하는 외계언어에요. 그냥 포기합니다.

결론 :
1. 크롬을 포기하고 파이어폭스로 이사가서 nabi를 쓴다
2. 한영키를 포기하고 ibus에서 Shift+Space 조합에 익숙해진다.
3. fcitx는 그냥 갖다 버린다. 난 왜 ibus랑 같이 시스템 트레이에 둘 다 떠서 사용 되는 건 ibus 냐고?
4. 우분투는 고수만 쓰는거다. 아,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잉글리쉬안~님들께서 쓰는거다. 구글링은 영어가 진리. 우분투도 영어가 진리.

#7.
사실은 주분투(xubuntu)도 다른 파티션 재미삼아 설치했었어요.
얘는 처음부터 입력기가 아예 설치 되어 있지 않아 '아 재밌네 ㅋㅋㅋ'라고 외치게 만들어 주었어요.

아무튼 주분투에서 삽질해 본 결과,
(nabi는 크롬에서 한글입력 역시 똥망이에요.)
ibus 한영키 사용이 주분투는 잘 돼요 ^0^

주분투에서는 ibus가 제대로 한영키 사용 가능하더라구요
dconf-editor 써서 org.gnome.desktop.wm.keybindings.switch-input-source 값을 복잡하게 찾아 들어갈 필요 없어요.
(물론 위 방법은 우분투에서 ibus로 한영키 사용하는 방법이었는데 정작 저는 우분투에서 소용 없었죠.)

ibus 트레이 오른쪽 버튼에서 기본설정 들어가면 첫번째로
키보드 바로가기에서 다음 입력기로 Ctrl <Space> 가 되어 있어요.
오른쪽에 '...'를 누르고, 나오는 새 창에서 조합할 키(ctrl)를 지우고 다시 오른쪽의 '...'를 눌러요.
그럼 또 나오는 새 창에서 '사용 안 함'이라는 글자를 누르면 '새 단축키...'로 바뀌는 데 이 때 한영키를 눌러줘요.
그럼 저절로 이전창으로 돌아가는데 키 코드에 Hangul이 나와 있죠. +추가를 해주고요. 기존의 Ctrl스페이스는 지워요.이제 확인 누르고 다 닫아요.
그냥 한마디로 입력버튼에 한영키 추가시켜주면 돼요. 우분투처럼 딴지 안걸고 그냥 추가돼요.
이얍!
ibus에서도 한영키가 정상적으로 돼요. 우분투처럼 사용할 수 없는 키니 조합하라니 어쩌니 하고 딴지 안 걸어요 ㅋㅋㅋ

그리고 주분투에서는 fcitx 안 깔아 봤지만 잘 될거 같아요. 얘는 ibus 처럼 설정 안 해 줘도 바로 되겠지요.

결론의 결론 : 우분투는 버리고 주분투나 사용해야 되나봐요. 어차피 우분투는 느리잖아요.

#8.
우분투 삽질 이야기 하나 더 있어요.

원문 링크 : viewtopic.php?f=9&t=26752

혹시나 모르시는 분에게 작은 팁(?) /// 글올린이: opinion » 2014/07/26 토 2:32 pm

다들 아실 "Linux format" 이라는 online magazine 에서 본 내용 중 일부 입니다.
다른 리눅스 관련, pc 관련 잡지들이 있지요.
이번 호에 보니 수정 해야 할 것들을 적어 놨더라구요.

1. sudo apt-get install preload : load apps faster(터미널 입력)
2. unity's background BLUR can slow the desktop to a crawl - so turn it off. : 유니티 대시 블러 효과 끄기.(트윅에서)
3. disable overlay scrollbar. : 오버레이 스크롤바 끄기.(트윅에서)

2번과 3번은 설치하신 트윅으로 간단히 하시면 되겠습니다.
특히 대쉬의 블러효과가 컴퓨터의 리소스를 많이 먹는가보네요.
제가 설정한 것 기준으로 요것만 가져 왔습니다.
영어가 서툴러서요.

다른거 더 많이 아시면 공유 좀 합시다.

------------------------------------------------------------------------------------------------------------------------------------------------------------------

sudo apt-get install preload : load apps faster
팁게에 쓰여 있는대로 위의 내용 문장 그대로 터미널 입력해 봐요.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니다... 완료
E: 패키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E: load 패키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E: apps 패키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E: faster 패키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안 돼요.
그대로 쳤는데도 안돼요.
어쩌란건지... -_-

혹시나 싶어
sudo apt-get install preload

이것만 터미널 입력해 봐요.
설치가 아주 잘 되요 -_-
............................................
..............................
..................

2. unity's background BLUR can slow the desktop to a crawl - so turn it off. : 유니티 대시 블러 효과 끄기.(트윅에서)
3. disable overlay scrollbar. : 오버레이 스크롤바 끄기.(트윅에서)
흠. 이건 뭔뜻일까요?
preload란 트윅프로그램으로 위 작업을 하라는 건가봐요.
프로그램은 설치했으니까 실행을 시켜야겠죠.
유니티 왼쪽 상단 검색버튼으로 preload를 검색해봐요.
어라? 아무것도 안 뜨네.
분명 제대로 설치했는데 아무것도 안 떠요.

구글링 해 봐요. (http://kjvvv.kr/11117)
이건 실행 가능한 유틸이 아니라 그냥 실행속도를 향상시키는 설정을 적용시키는 그런건가 봐요.

2. unity's background BLUR can slow the desktop to a crawl - so turn it off. : 유니티 대시 블러 효과 끄기.(트윅에서)
3. disable overlay scrollbar. : 오버레이 스크롤바 끄기.(트윅에서)

그럼대체 이건 무슨 내용이란 말인가요?

트윅?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무슨 트윅 찾아서 깔았어요.
그리고 실행시켜 봐요.
근데 disable overlay scrollbar. 랑 unity's background BLUR can slow the desktop to a crawl - so turn it off 라는 건 트윅의 어디에 있는 건가요?

엄청난 삽질을 했어요.
힘이 다 빠졌지만 결국 알아냈어요.

트윅에서 위의 내용을 바꿀 수 있는 방법과
터미널에서 명령어로 바꿀 수 있는 방법과
dconf ediotr에서 값을 찾아가서 바꾸는 방법까지
방법이 참 많더군요.

일단 3번의 disable overlay scrollbar. 라는 건 스크롤바가 투명하게 나오는 효과를 끄면 우분투가 빨라진다는 건데
터미널 열어서 이거 그대로 gsettings set com.canonical.desktop.interface scrollbar false 입력하면 돼요.
아님 dconf-editor 써서 gsettings set com.canonical.desktop.interface 찾아가서 scrollbar 값을 false 시켜도 돼요.
속도 뿐만이 아니라 제 생각에는 디자인도 차라리 기본이 더 좋네요.

2번의 unity's background BLUR can slow the desktop to a crawl - so turn it off 이것도 찾아냈어요
터미널에 이렇게 치면 돼요.
gesettings set org.compiz.unityshell:/org/compiz/profiles/unity/plugins/unityshell/ dash-blur-experimental 0
0이 효과를 끄는거고, 1하고 2과 서로 효과를 적용 시킨거에요.
dconf editor 열어 놓은 상태에서 트윅에서도 적용하는 거에 따라 그 값이 실시간으로 바뀌는 걸 확인했어요.
근데 이건 뭐가 변하는지 모르겠어요. 바뀐게 없는데요?
(혹시 왼쪽 상단 버튼 누르면 나오는 창이 투명하지 않게 하는 효과 아니었나요? 그냥 그대론데.... 아 몰라요... 징짜 -_-^)

결론의 결론의 결론의 결론 : 우분투 초보자는 간단한 팁 하나 이해하는 거에도 삽질에 삽질, 검색에 검색, 삽질에 삽질, 검색에 검색을 해야 겨우 따라할 수 있다는 걸 알았어요.
쫌 하려면 기본 이상의 컴퓨터 다루는 능력과 무엇보다도 Skill English를 필수로 습득해서 Master Googling의 지위를 얻어야 해요.
한마디로 저같은 노우 잉글리쉬 온니 코리안 초보 여행자는 영원히 이룰 수 없는 높이란 거죠.
현재와 같은 번역판이 아닌 진정한 의미의 한글판이 나오지 않는 이상 우분투는 노우 잉글리쉬 코리안들인 다가갈 수 없는 그들만의 리그가 될 수 밖에요.
게시물 보니까 정부 차원에서 리눅스 민트 한글판을 추진하던 거 같은데
근데 그냥 지속장기적인 사업으로 추진해서 업데이트도 계속 해주고, 정부 컴퓨터를 윈도우에서 한글판 리눅스로 환경 자체를 바꾸는게 아니라면
그냥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고 별 의미도 없이 유저 커뮤니티로 넘어가고 말겠지요. 안 그런가요?

한영 버튼 안 되서 한글 입력기 지웠다가 시스템 관리자가 날라가고 (처음에는 한글 입력 조차 안 되지요 ㅋㅋㅋㅋ)
한영키 쓰고 싶어서 검색 검색 검색 검색 검색 검색 검색 검색 (구글링이 진리. 이 말은 우주인이 한 말이에요.)
검색 해서 나오는 대부분의 알짜 팁들은 우주계 언어인 잉글리쉬 (나는 지꾸인 한쿡인이에요)

MS윈도우의 처음사용자용 가격이 점점 싸지고 있어요.
그니까 일단은 윈도우를 인정하고 정품은 구매해야 겠어요.
하지만 멋쟁이 리눅스에도 조금씩 익숙해지려고 노력해야겠지요~
언젠간 리눅스에서도 많은 일들을 할 수 있을거에요.
But,
아직까진 남들한테는 리눅스 절대 권하지 못할 거에요 ㅋㅋㅋㅋㅋㅋㅋ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577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