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happyman
Forum: 서버/네트워크 게시판
Date: 2014-07-25
재미있는 실험을 하시네요. 제가 이런 시도를 해본 적이 없어서 조언할 처지는 못되구요. 조언도 못하면서 글을 다니 방해하는 것도 같고... 죄송합니다.
일단 구글을 검색해 보니 똑같은 경우는 찾지 못했지만, dongle1 대신에 ethernet으로 연결한 경우 등 비슷한 경우가 많네요. dongle1 대신에 ethernet으로 연결한 경우는 사실상 같은 경우잖아요? 유선이냐 무선이냐의 차이일 뿐이지요? 저는 그렇게 이해됩니다만... 이 글이 관련 글입니다. 이 글이 더 도움이 되려나요? 이미 많이 검색해 보셨는지도 모르겠고, 이 경우들도 새로운 서브넷을 만드는 방법들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제가 원하는 것은 이더넷과 연결된 AP로부터 거리가 멀어 접속 불가능한 기기들도 라즈베리 파이의 동글 2를 통하여 AP로부터 IP를 인가받는 구조, 즉 전체가 하나의 서브넷으로 묶인 구조를 만들고 싶습니다. 제가 앞서 구현하나 부분은 동글 2가 새로운 서브넷을 생성하므로 이러한 구조와는 거리가 있습니다.
그런데 말이죠. 제가 이 댓글을 쓰는 이유는 위 글이 이해되지 않아서요. 정보를 원하시는데 제가 오히려 질문을 하니 죄송합니다. 제 질문은 "새로운 서브넷을 생성하면, 그 서브넷에 연결된 디바이스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때 실질적으로 문제되는 것이 무었인가요?" 말을 바꾸면, 무슨 문제 때문에 굳이 하나의 네트워크가 되도록 만들려하시는 것인가요?
다시 한번 죄송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그냥 답글 붙는 것을 구경만 하려다가, 제가 궁금증을 참지 못하고 질문에 대한 질문을 올려버리고 말았습니다.
Forum: 서버/네트워크 게시판
Date: 2014-07-25
재미있는 실험을 하시네요. 제가 이런 시도를 해본 적이 없어서 조언할 처지는 못되구요. 조언도 못하면서 글을 다니 방해하는 것도 같고... 죄송합니다.
일단 구글을 검색해 보니 똑같은 경우는 찾지 못했지만, dongle1 대신에 ethernet으로 연결한 경우 등 비슷한 경우가 많네요. dongle1 대신에 ethernet으로 연결한 경우는 사실상 같은 경우잖아요? 유선이냐 무선이냐의 차이일 뿐이지요? 저는 그렇게 이해됩니다만... 이 글이 관련 글입니다. 이 글이 더 도움이 되려나요? 이미 많이 검색해 보셨는지도 모르겠고, 이 경우들도 새로운 서브넷을 만드는 방법들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제가 원하는 것은 이더넷과 연결된 AP로부터 거리가 멀어 접속 불가능한 기기들도 라즈베리 파이의 동글 2를 통하여 AP로부터 IP를 인가받는 구조, 즉 전체가 하나의 서브넷으로 묶인 구조를 만들고 싶습니다. 제가 앞서 구현하나 부분은 동글 2가 새로운 서브넷을 생성하므로 이러한 구조와는 거리가 있습니다.
그런데 말이죠. 제가 이 댓글을 쓰는 이유는 위 글이 이해되지 않아서요. 정보를 원하시는데 제가 오히려 질문을 하니 죄송합니다. 제 질문은 "새로운 서브넷을 생성하면, 그 서브넷에 연결된 디바이스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때 실질적으로 문제되는 것이 무었인가요?" 말을 바꾸면, 무슨 문제 때문에 굳이 하나의 네트워크가 되도록 만들려하시는 것인가요?
다시 한번 죄송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그냥 답글 붙는 것을 구경만 하려다가, 제가 궁금증을 참지 못하고 질문에 대한 질문을 올려버리고 말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