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workman729
Forum: 설치/부팅 관련
Date: 2014-04-17
아! 죄송합니다. 괜히 시간만 축나게 한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오픈수세는 우분투 보다 최신 하드웨어에 약한 점이 있습니다.
커널도 우분투 보다 상당히 경량화 되어 있습니다. 참고 하십시오.
제가 과거에 AMD를 사용하면서 여러 차례 로우 그래픽 모드를 경험 했습니다만
90%는 커널 모듈 빌딩이 원활하지 않아 커널이 업그레이드시 DKMS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였습니다.
이런 경우 재설치 없이 일전에 알려드린 방법으로 모듈을 올리시면 해결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AMD를 사용하면서 여러 차례 열받는 일이 많아서 다음과 같은 예방적인 조치를 설치 초기에 하였습니다.
1. 오픈소스 드라이버를 삭제하여 DKMS 작동을 원활히 할 것과 사고 발생시 failsafe-X 모드를 안정적으로 사용하자!!
[첨부] 복구모드에서 (FilesafeX를 선택하여) 부팅한 후 그래픽 부팅화면으로 들어가면
초기 로그인 화면에서 로그인하면 다음 화면에서 진행이 되지 않네요.
이걸 사진으로 찍어 올려 볼까요?
복구 모드에서 failsafe-X 모드로 로그인이 안 되시는 것을 보니 아마도 오픈소스 드라이버를 삭제 하신 것 같습니다. 맞나요?
오픈소스 드라이버 모듈이 로딩 되어 있으면 커널 업데이트 시 dkms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분투에서는 보기 드문 현상이나 페도라에서는 오픈소스 드라이버 모듈이 있으면 DKMS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오픈소스 드라이버를 삭제 하거나 생성된 모듈을 백업 처리하고
오픈소스 드라이버 모듈을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이롭습니다.
거의 대부분의 우분투 사용자들께선 위의 작업을 하지 않는 데
오픈 소스 드라이버를 삭제하셨다면 failsafe-X 로그인시 오픈 소스 모듈을 찾다가 뻗어 버립니다.
그런 경우 아래 명령어로 부트 이미지를 새로 만들어 주시면 해결 가능 합니다.
AMD는 두 가지의 오픈소스 드라이버가 있죠! ATI와 radeon일 겁니다.
아마도 radeon을 쓰지 싶은 데 둘 다 삭제 후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여 주십시오.
그런데 모듈 명이 맞는지 확실하지 않네요! 조사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마 맞을 겁니다.)
# sudo apt-get remove xserver-xorg-video-radeon
# sudo vi /etc/modprobe.d/amd-blacklist.conf
blacklist radeon
# sudo update-initramfs -u
update-initramfs 명령어로 새로운 부트 이미지를 만들어 줍니다.
그러면 재부팅 후 복구 모드에서 failsafe-X 모드로 로그인이 가능 합니다.
물론 아주 흐리게 나오지만 말이지요!
위의 작업으로 웬만한 사고는 미연에 방지 되고 사고 발생시 최소한의 이용 조건은 충족될 수 있습니다.
2. 혹시 모르니 grub의 설정에서 nomodeset을 추가하자!
많이들 활용하시는 방법으로 일부 그래픽 카드 사용 시 필수적으로 해주어야 할 작업입니다.
특히 LightDM이 뜨지 않을 경우 특효약이기도 합니다.
# sudo vi /etc/default/grub
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splash nomodeset"
# sudo update-grub
오픈소스 드라이버를 삭제한 경우에는 예전(아래) 처럼 처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radeon.modeset=0 rd.driver.blacklist=radeon nomodeset")
3. 귀찮음을 방지하기 위해 linux-source, linux-headers-generic, dkms는 필수 적으로 설치하자!
일단 사고가 발생하면 여러가지 작업을 해야 하는 데 위의 패키지는 미리 설치해 두십시오.
linux-source는 커널 업그레이드 시 dkms가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 합니다.
위의 여타 작업을 해두시면 모듈이 생성되지 않거나 로그인 화면이 뜨지 않을 때
사고 방지를 위한 작업으로 이해 하시면 되겠습니다.
역시나 제일 중요한 점은 AMD의 드라이버 개발 속도인 것 같습니다.
저는 여러 리눅스 배포반이 새로 나온 경우 AMD의 차기 드라이버가 출시 될 때 까지 기다리거나
기다리는 것이 힘들고 드라이버 설치가 잘되지 않는다면 콘솔 모드에서 소스 설치를 하였습니다.
그러면 다음 커널이 나올 때까지는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반복적인 드라이버 설치 작업이 필요 하지만 말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Forum: 설치/부팅 관련
Date: 2014-04-17
아! 죄송합니다. 괜히 시간만 축나게 한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오픈수세는 우분투 보다 최신 하드웨어에 약한 점이 있습니다.
커널도 우분투 보다 상당히 경량화 되어 있습니다. 참고 하십시오.
제가 과거에 AMD를 사용하면서 여러 차례 로우 그래픽 모드를 경험 했습니다만
90%는 커널 모듈 빌딩이 원활하지 않아 커널이 업그레이드시 DKMS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였습니다.
이런 경우 재설치 없이 일전에 알려드린 방법으로 모듈을 올리시면 해결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AMD를 사용하면서 여러 차례 열받는 일이 많아서 다음과 같은 예방적인 조치를 설치 초기에 하였습니다.
1. 오픈소스 드라이버를 삭제하여 DKMS 작동을 원활히 할 것과 사고 발생시 failsafe-X 모드를 안정적으로 사용하자!!
[첨부] 복구모드에서 (FilesafeX를 선택하여) 부팅한 후 그래픽 부팅화면으로 들어가면
초기 로그인 화면에서 로그인하면 다음 화면에서 진행이 되지 않네요.
이걸 사진으로 찍어 올려 볼까요?
복구 모드에서 failsafe-X 모드로 로그인이 안 되시는 것을 보니 아마도 오픈소스 드라이버를 삭제 하신 것 같습니다. 맞나요?
오픈소스 드라이버 모듈이 로딩 되어 있으면 커널 업데이트 시 dkms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분투에서는 보기 드문 현상이나 페도라에서는 오픈소스 드라이버 모듈이 있으면 DKMS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오픈소스 드라이버를 삭제 하거나 생성된 모듈을 백업 처리하고
오픈소스 드라이버 모듈을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이롭습니다.
거의 대부분의 우분투 사용자들께선 위의 작업을 하지 않는 데
오픈 소스 드라이버를 삭제하셨다면 failsafe-X 로그인시 오픈 소스 모듈을 찾다가 뻗어 버립니다.
그런 경우 아래 명령어로 부트 이미지를 새로 만들어 주시면 해결 가능 합니다.
AMD는 두 가지의 오픈소스 드라이버가 있죠! ATI와 radeon일 겁니다.
아마도 radeon을 쓰지 싶은 데 둘 다 삭제 후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여 주십시오.
그런데 모듈 명이 맞는지 확실하지 않네요! 조사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마 맞을 겁니다.)
# sudo apt-get remove xserver-xorg-video-radeon
# sudo vi /etc/modprobe.d/amd-blacklist.conf
blacklist radeon
# sudo update-initramfs -u
update-initramfs 명령어로 새로운 부트 이미지를 만들어 줍니다.
그러면 재부팅 후 복구 모드에서 failsafe-X 모드로 로그인이 가능 합니다.
물론 아주 흐리게 나오지만 말이지요!
위의 작업으로 웬만한 사고는 미연에 방지 되고 사고 발생시 최소한의 이용 조건은 충족될 수 있습니다.
2. 혹시 모르니 grub의 설정에서 nomodeset을 추가하자!
많이들 활용하시는 방법으로 일부 그래픽 카드 사용 시 필수적으로 해주어야 할 작업입니다.
특히 LightDM이 뜨지 않을 경우 특효약이기도 합니다.
# sudo vi /etc/default/grub
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splash nomodeset"
# sudo update-grub
오픈소스 드라이버를 삭제한 경우에는 예전(아래) 처럼 처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radeon.modeset=0 rd.driver.blacklist=radeon nomodeset")
3. 귀찮음을 방지하기 위해 linux-source, linux-headers-generic, dkms는 필수 적으로 설치하자!
일단 사고가 발생하면 여러가지 작업을 해야 하는 데 위의 패키지는 미리 설치해 두십시오.
linux-source는 커널 업그레이드 시 dkms가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 합니다.
위의 여타 작업을 해두시면 모듈이 생성되지 않거나 로그인 화면이 뜨지 않을 때
사고 방지를 위한 작업으로 이해 하시면 되겠습니다.
역시나 제일 중요한 점은 AMD의 드라이버 개발 속도인 것 같습니다.
저는 여러 리눅스 배포반이 새로 나온 경우 AMD의 차기 드라이버가 출시 될 때 까지 기다리거나
기다리는 것이 힘들고 드라이버 설치가 잘되지 않는다면 콘솔 모드에서 소스 설치를 하였습니다.
그러면 다음 커널이 나올 때까지는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반복적인 드라이버 설치 작업이 필요 하지만 말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